본문 바로가기
과학기술교육융합

유전자 편집, 치료인가 강화인가?생명 설계 기술의 경계에서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

by insight2127 2025. 4. 14.

 

 

유전자 편집 - 생명을 고치는 기술이개선으로 바뀌는 순간

 

1980년대 미생물학자들이 박테리아 DNA에 있는 특이한 유전자 배열을 찾아낸 이후 유전체학은 급속도로 발전해왔다. 이제 유전자재조유전자 편집 기술은 작물의 변형 정도가 아닌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로 발전해왔다. CRISPR-Cas9, 프라임 에디팅 등 최신 기술은 세포 수준에서 유전 정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면서, , 유전 질환, 희귀병 치료에 실질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이 단지 질병을 고치는 데 그치지 않고, 배아편집을 통해 자녀의 지능, 머리카락색깔, 키 등을 마음대로 결정하는데에 쓰인다면 어떨까? 이처럼 조금 더 우수한, 우수해보이는 유전형질을 인위적으로 설계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한다면 중대한 윤리적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치료의 개념과 강화의 개념 그 중에 어디에 속하며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을까? 

 

유전자 편집, 치료인가 강화인가?생명 설계 기술의 경계에서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

 

그렇다면 ‘치료 목적유전자 편집이란 무엇인가?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할 것이다. 

  1. 심각한 건강 위협을 막기 위한 개입 낭포성 섬유증, 겸상 적혈구 빈혈증, 헌팅턴병처럼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생명이 위협받는 경우
  2. 의학적 표준에 따른 치료적 개입 이미 질병으로 인정된 상태에 대한 조치
  3.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함 정상적인 신체 기능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둠

예를 들어, 겸상 적혈구 질환을 가진 환자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수정하여 정상적인 혈색소 단백질을 생성하게 만드는 방식은 치료 목적 편집으로 분류된다.

 

강화 목적편집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걸까?

 

강화 목적 유전자 편집은 보다 모호한 개념이다. 이는 질병 치료가 아닌, 인간의 신체 능력, 지능, 외모, 감정 반응 등을 인위적으로 개선하거나 변경하려는 시도를 말한다.

  • 근육 성장 유전자(MSTN)의 억제운동 능력 강화
  • IQ 연관 유전자 발현 조절인지능력 향상 가능성 탐색 중
  • 멜라닌 유전자 조절외모 조작 가능성 제기

이러한 편집은 본질적으로치료라기보다는 경쟁력 확보, 선호 반영, 사회적 기준 강화와 관련되어 있으며, 우생학적 논란과 불평등의 심화와 직결될 수 있다.

 

유전자 편집 - 그 경계는 어디이며 기준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

치료와 강화 사이의 경계는 단순하지 않다. 문제는질병의 정의정상 상태의 기준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질문 윤리적 모호성
키가 140cm인 사람의 성장 유전자 편집은 치료인가? 사회적 불편 때문이라면? 미용인가?
청각장애는 병인가, 하나의 정체성인가? 커뮤니티에서는 편집 반대가 많음
ADHD 유전자를 억제하는 것은 치료인가, 성격 개입인가? 사회적 순응을 강요하는 결과일 수도

 

결국, 과학기술의 가능성보다 중요한 것은 가치 판단과 사회적 합의다. 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이 공동체의 윤리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명윤리의 4대 원칙으로 본 판단 기준

 

생명윤리학에서 널리 쓰이는 네 가지 원칙은 이 경계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1. 자율성 존중: 편집 대상이 될 당사자의 동의와 선택권
  2. 악행 금지: 돌이킬 수 없는 부작용 발생 가능성 최소화
  3. 선행의 원칙: 실제로 편집이 이익을 가져오는가?
  4. 정의의 원칙: 누구나 동등하게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가?

특정 계층만이 지능 향상 편집 기술을 쓸 수 있다면, 기술은 평등을 파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실제 사례: 디자이너 베이비 논란

2018, 중국 과학자가 **HIV 면역 유전자를 편집한 아기(‘CRISPR 베이비’)**를 출산시켰다는 발표는 전 세계 생명윤리학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이 기술은치료 목적을 내세웠지만, 대상이건강한 배아였고, HIV 감염 위험은 우회적 방법으로도 예방 가능했으며, 편집된 유전자가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강화 목적 편집이자 무책임한 실험으로 평가되었으며 불법 의료행위로 투옥된 바 있다. 

 

경계는 기술이 아니라가치가 정한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점점 더 정밀해지고 있고, 곧 치료와 비치료의 경계조차 모호해질 수 있다.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은 단순히 "가능한가?"가 아니라 "정당한가?" "지속 가능한가?" "공정한가?"여야 한다.

우리는 이제 생명을 편집할 수 있는 기술보다, 생명을 존중할 수 있는 합의된 사회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 생각해 볼 질문

  • 유전자 편집의치료강화를 나누는 기준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 기술 발전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위험은 없는가?
  • 자녀의 유전자를 선택하는 것은 누구의 권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