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적정기술사례3

재난 대응용 적정기술: 물, 전기, 통신이 끊긴 곳에서의 생존 기술 재난은 기술의 사각지대를 드러낸다  기술이 아무리 발전해도, 지진이 일어나고, 태풍이 몰아치고, 전쟁이 시작되는 순간,  우리는 너무나 쉽게 ‘기본’의 부재를 체감하게 된다.물이 끊기고, 전기가 사라지고, 통신이 두절되면 고도화된 문명도 한순간에 무력해진다. 하지만 이런 비상 상황에서,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적정기술들이 생존의 열쇠가 된다. 적정기술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그것은 생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을 실현하는 기술이며, ‘고장 나지 않고, 유지 가능하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기후 재난, 분쟁, 재난 취약 지역에서 적정기술은 생존을 위한 최전선에 서 있다.        전기가 끊긴 곳의 빛, 태양광 기술 가장 기본적인 필요 중 하나는 ‘전기’다. 재난이 .. 2025. 3. 31.
종이 현미경, PET병 정수기: 1달러가 생명을 바꾸는 기술들 기술의 크기가 아닌 가치의 크기 우리는 흔히 기술을 이야기할 때, 얼마나 정교한지, 얼마나 비싼지를 기준으로 삼는다. 더 많은 자본과 복잡한 시스템이 동원될수록, 더 ‘첨단’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진짜 기술의 힘은, 꼭 거대한 장비나 고급 소재에서만 나오는 걸까?적정기술의 세계에선 이야기가 다르다.단돈 1달러 이하, 어쩌면 고급 커피 한 잔보다도 더 저렴한 도구들이 지구 반대편 어딘가에서는 생명과 죽음을 가르는 경계선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할 두 가지 사례는 그 대표적인 예다. 바로 '종이로 만든 현미경(Foldscope)'과 'PET병으로 만든 정수기(SODIS)'다.이들은 고비용 기술이 미치지 못하는 틈을 메우며, 과학이 얼마나 사람 중심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종이로 만든 현.. 2025. 3. 31.
적정기술이란 무엇인가? 생존을 위한 과학의 철학 기술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현대 사회에서 기술은 언제나 발전이라는 이름 아래 움직이고 있다. 더 빠른 속도, 더 높은 해상도, 더 정밀한 데이터.하지만 문득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어진다. 이 놀라운 기술들은 과연 모두에게 혜택을 주고 있는가?지금 이 순간에도 깨끗한 물 한 컵, 전기 한 줄이 없어 고통받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면, 기술은 어디를 향해 나아가야 하는가? 바로 이 지점에서 등장하는 개념이 있다.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그것은 “가장 뛰어난 기술”이 아니라, “가장 필요한 사람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적정기술은 고도의 첨단 장비보다도, 작고 단순하지만 생명을 바꾸는 실천적 기술에 가깝다.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의 지역, 경제력, 문화, 교육 .. 2025.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