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래를 바꾸는 과학기술/3D프린팅

기술이 부족할수록 더 절실한 기술: 저소득 국가에서 3D 프린터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by insight2127 2025. 3. 23.

기술이 부족할수록 더 절실한 기술: 저소득 국가에서 3D 프린터는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첨단 기술은 선진국만의 것이어야 할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3D 프린팅을 이야기할 때, 로봇 팔이 움직이는 스마트 팩토리나 우주 정거장에서 인공 장기를 출력하는 장면을 떠올린다.그만큼 이 기술은 ‘첨단’, ‘고가 장비’, ‘고급 기술자’와 같은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시선을 바꿔 보면 전혀 다른 가능성이 보인다.
자본과 인프라가 부족한 저소득 국가일수록, 오히려 3D 프린터의 가치는 더 커질 수 있다. 도로나 물류 체계가 불안정하고, 간단한 부품 하나가 없어도 설비가 멈춰버리는 지역에서는 ‘현장에서 즉시 필요한 것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술’이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생존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3D 프린터 한 대는 작은 공간에서 작동하고, 전기만 있다면 복잡한 부품도 몇 시간 안에 출력할 수 있다.
과연, 이 기술은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 ‘자급자족형 혁신’을 가져올 수 있을까?

 


 

 

필요한 것을 그 자리에서 만드는 기술

 

저소득 국가나 개발도상국에서는 대체로 생산 수단이 부족하고, 외부로부터의 공급 의존도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의료기기 부품이 고장 났을 때, 해외에서 부품을 들여오기까지 수 주 이상이 걸리며 비용도 만만치 않다. 그 사이 장비는 방치되고, 필요한 치료는 늦어진다. 하지만 3D 프린팅 기술이 도입되면 필요한 부품이나 기구를 현장에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실제로 몇몇 NGO들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저가형 3D 프린터로 인공 의수, 의료 고정 도구, 수동 펌프 부품 등을 출력해
병원이나 보건소의 장비 수리, 응급 처치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있던 플라스틱이나 폐자재를 재활용해 필라멘트를 만드는 방법까지 개발되면서 기존의 쓰레기조차도 생산 자원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자립을 위한 도구로 작동하게 된다.

 


 

 

 

실제 사례가 보여주는 가능성

 

국제 인도주의 기술 단체인 Field Ready는 네팔, 시리아, 아이티와 같은 재난 또는 저개발 지역에
현지 출력 기반 의료 보조 장비와 부품을 공급하는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Enabling the Future 프로젝트는
전 세계 자원봉사자들이 3D 프린터를 활용해 아이들의 팔 크기에 맞춘 맞춤형 의수를 출력해 무상 공급하고 있다.
이 의수는 단순히 저렴할 뿐만 아니라, 아이의 성장 속도에 맞춰 계속해서 재출력할 수 있다.

 

기존의 기성품은 크기와 가격, 운송 문제로 제약이 많지만, 3D 프린팅은 설계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수정과 제작이 가능하다. 즉, 3D 프린터는 ‘완제품을 가져다주는 기술’이 아니라, 제작 능력을 전달하는 기술로 기능하고 있다.

 

 


 

문제도 있지만, 기회는 더 크다

 

물론 이 기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정전이 잦은 지역에서 전력 공급이 안정되지 않으면 출력 자체가 불가능하고,  장비 유지보수나 소재 수급에 어려움이 따를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태양광 배터리 기반 3D 프린터, 저가형 필라멘트 생산기, 현지어로 된 오픈소스 설계도 공유 플랫폼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노력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중요한 건 ‘무엇을 갖고 있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스스로 만들어낼 수 있느냐’이다.
그 점에서 3D 프린팅은 기술이 부족한 지역에야말로 다른 나라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줄 수 있다.


 

3D 프린팅은 단지 복잡한 기계를 출력하는 기술이 아니다. 기술 격차를 줄이고, 기회를 평등하게 나누는 기술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다. 오히려 공장이 없는 곳, 도로가 끊긴 곳, 자원이 부족한 곳에서 이 기술은 진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첨단 기술일수록, 그 접근권은 더 넓어야 한다.


3D 프린팅이야말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